외국 사이트에 접속할 때 느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터넷 해외망 품질이 그리 좋지 않은 점도 분명 있지만 국내 dns 서버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기 때문에 느려지는 경우도 있죠. 저도 몇몇 해외 사이트를 이용할 때 접속 속도가 답답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ns 서버를 구글 dns 서버로 변경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Dns를 변경하면 국내 사이트의 경우 느려질 수 있지만 해외 사이트의 이용 속도가 빨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 환경에서 구글 DNS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위에서 설명 드린 이유 말고도 국내에서 https 차단이 이루어진 이후 접속이 불가능한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국내 dns서버를 우회하는 것..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