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렌트를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속도가 느린 경우가 많죠? 시드가 부족해서 40kb/s 이하의 속도로 다운로드될 때는 컴퓨터를 밤새 킨 상태로 둬야 하나 하면서 고민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서버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transmission이라는 토렌트 다운로더를 서버에 설치해 메인 컴퓨터터는 꺼두고 서버에서 토렌트를 다운로드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토렌트의 장점은 시드만 충분하다면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파일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죠. 지난번에 안드로이드 커스텀 롬을 다운로드 받는데 웹상에서 너무 느려서 거의 11시간을 다운로드 받아야 된다고 나오더군요. 보통 이럴 때 토렌트 파일이 제공되어 있다면 토렌트로 파일을 받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오늘 포스팅에서 doc..
서버 컴퓨터에 여러 서비스를 설치하고 나서 서버에 무리가 가지 않을까 걱정이 들 때가 있습니다. 특히 서버 온도나 cpu/ram 점유율을 파악해야 할 때가 많죠. 그럴 때마다 ssh로 OpenMediaVault 서버에 접속해 명령어를 통해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많이 귀찮습니다. 그래서 도커에 netdata라는 컨테이너를 설치해서 웹상에서 서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고 가독성 좋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 겁니다. Netdata는 웹 페이지에 netdata가 설치된 컴퓨터의 온도, cpu/ram 점유율, 디스크 사용률 등등 다양한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해주는 이미지입니다. 저는 주로 서버 cpu의 온도를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컴퓨터에 관한 아주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는데 웹상에서 돌아가는 HWmonito..
개인 서버를 운영하는 이유는 자신이 필요한 기능만을 추가해 24시간 동안 돌린다는 점에 있죠. 저도 마찬가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제 개인 서버에서는 블로그, 클라우드, 미디어 서버 외에도 게임 서버가 항상 돌아가고 있죠. 성인이 된 지금은 친구들과 시간을 맞추기도 힘들고 또 현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집 밖에 나가기 힘든 상황이죠? 게임 서버를 24시간 켜 놓습니다. 게임 속에서 시간 될 때 만나면 되니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OpenMediaVault에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Omv와 같은 리눅스에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여는 방법은 여러 가지입니다. 도커를 이용해 서버를 여는 방법도 있고 직접 운영체제에 자바 8을 설치해 운영하는 방법도 있죠. 하지만 두 가지..
지금까지 OpenMediaVault에 nextcloud와 wordpress를 설치했습니다. 이제 외부에서 나스에 저장된 음악을 듣거나 영상을 볼 수 있는 미디어 서버를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영상은 nextcloud에서 재생할 수 있긴 하지만 미디어 서버를 올리고 해당 서버에서 오늘 소개해드릴 jellyfin에도 모바일 어플이 존재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나스를 구성하시는 분들은 미디어 서버를 설치하실 때 Plex를 이용하죠? 저도 이전에는 Plex 서버를 이용했었는데 메인 페이지가 너무 번잡해서 제 취향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조금 더 메인 페이지가 깔끔한 Jellyfin을 설치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Plex서버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트랜스 코딩을 지원하기에 기..
이번 포스팅에선 OpenMediaVault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설치해 둔/사용했던 방법들을 거의 다 사용하기 때문에 혹시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이 이해되지 않으시는 분들은 지난 포스팅을 한번 들러주세요.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설치형 블로그입니다. 아주 다양한 사이트에서 활용하고 있고 다양한 플러그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하는 대로 커스터 마이징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데 어느정도 익숙지 않으신 분들은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익숙해지시면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처럼 사용할 수 있죠. 저 또한 현재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이 티스토리 블로그와 병행하고 있습니다. 간간히 생각난 때마다 글을 쓰는 수준이긴 하지만..
슬슬 OpenMediaVault를 사용한 나스 만들기 포스팅도 중후반 정도까지 진행한 것 같습니다. 사실 portainer와 mariadb(phpmyadmin) 그리고 nginx proxy manager만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다면 원하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찾아 설치해 이용할 수 있거든요. 지금 진행하고 있는 nextcloud 포스팅 또한 그중 하나구요. 이번 포스팅은 nextcloud에 리버스 프록시를 적용한 것에 이어 외부 저장소를 nextcloud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Nextcloud를 기본 상태로 설치하고 외부 저장소를 따로 추가해주지 않으면 모든 데이터를 data폴더에 저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집에서 smb를 통해 저장한 데이터가 data 폴더 내부에 존재하지 않으면 ..
지난 포스팅에서 openmediavault에 nextcloud를 설치하는 부분까지 진행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치한 nginx proxy manager을 통해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으로 리버스 프록시/가상 호스트를 적용시켜 볼까 합니다. 도커를 통해 nextcloud를 설치하고 공유기 내부 ip를 통해 접속하는 과정까지는 마무리되었지만 이제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도메인이 필요하죠. 하지만 도메인을 그대로 할당해주면 nextcloud나 다른 서비스 하나만 연결해줄 수 있습니다. 리버스 프록시를 적용하면 하나의 도메인으로 서브도메인을 생성하여 많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죠. 예를 들어 test.com이라는 도메인이 있으면 도메인 앞에 서브도메인을 추가해주는 방식으로 도메인을 나눠줄 ..
Open media vault 서버에 다양한 서비스를 설치하기 전 마지막 과정으로 nginx proxy manager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nginx proxy manager은 가상 호스트/리버스 프록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웹 관리 툴로 콘솔을 통해 하나하나 설정하는 대신 웹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커 이미지입니다. 설치하기에 앞서 nginx proxy manager이 해주는 일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보통 도커 위에 웹 서비스를 설치하면 해당 컨테이너의 포트와 호스트 서버의 포트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각 서버에 접속하게 만들죠. 하지만 이런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많은 포트를 공유기에 포워딩해줘야 할 뿐 아니라 서비스를 사용할 때마다 각각의 포트를 도메인 뒤에 적어..
지난 포스팅에서는 Portainer의 사용법과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었죠? 오늘은 지난번에 예고해드린 대로 phpmyadmin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phpmyadmin은 MariaDB, mysql 등의 DBMS를 관리할 수 있는 웹 관리 툴인데요. 도커에서 서비스를 구동할 때 더 수월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이미지를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mysql 문법을 사용하시는데 익숙하신 분들은 굳이 설치하지 안 하셔도 됩니다. 그럼 차례대로 진행해보도록 합시다. (혹시 아직 mariadb를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openmediavault 나스 만드는 방법[9]portainer 사용법, mariaDB 설치 방법 OMV(OpenMediaVau..
지난 강의에서 openmediavault에 도커와 portainer을 설치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렸습니다. 그러니 이번에는 도커에 다양한 서비스를 설치하기 위한 몇 가지 작업을 더 해주려 합니다. 바로 mariadb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웹 툴인 phpmyadmin을 도커 위에 설치해주는 거죠. 위 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를 한데 모아 쉽게 관리할 수 있죠.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Portainer의 기본적인 활용 방법과 함께 방금 설명드린 데이터베이스 설치 과정 또한 설명하려고 합니다. 향후 설치할 Nextcloud 그리고 Wordpress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과정이니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꼭 숙지하여 주세요. 오늘은 Mariadb의 설치까지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hpmyadmin의 설치..
Open media vault를 시놀로지나 큐냅 등의 상용 나스와 동등한 수준의 서비스를 가지게 만들기 위해서는 docker을 반드시 이용해야 합니다. 도커의 다양한 이미지들을 이용해 컨테이너를 만들고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만들거나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이용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도커가 나오기 전에는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자작 나스를 만드는 것이 난이도 있는 일이었지만 도커가 나오고 다양한 서비스들을 도커 위에서 구동이 가능해지며 난이도가 크게 내려가게 되었죠. omv에는 omv-extra라고 하는 추가적인 패키지가 있습니다. 해당 패키지를 설치해주는 것으로 도커를 아주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omv-extra와 docker 그리고 도커 웹 관리 툴인을..
지난번 강의까지 openmediavault에서 smb와 ftp를 활성화하고 접속해 이용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렸습니다.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omv의 도커 기능을 이용하기 전에 고정아이피를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고정아이피를 할당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원하는 주소로 정해두고 향후 공유기에서 ip를 다시 할당 받아 ip가 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또 이번 설정을 통해 도커를 이용할 때 생기는 오류를 먼저 예방하는 설정도 해주려고 합니다. 그럼 간단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MV 고정 ip 할당하기 먼저 omv에 브라우저로 접속해주세요. 그런 뒤 네트워크->인터페이스로 이동하면 현재 생성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보이는데 해당 인터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