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에 설명한 나스 서버 os OMV에서 삼바 서버를 구성하는 방법에 이어서 오늘은 FTP 서버를 활성화해서 이젠 정말로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나스 서버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도의 포트포워딩 작업과 사용자 계정 추가에 관한 내용은 글 중간에 필요한 부분에서 이전에 써 놓았던 글의 링크를 적어 놓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죠. FTP 서버 활성화 하기 OMV에서 FTP 서버를 활성화 해주기 위해서는 먼저 FTP활성화를 시켜주어야겠죠. 관리자 페이지에서 서비스-> FTP로 들어가시면 이렇게 활성화 설정을 해줄 수 있는 곳이 나옵니다. 활성화를 해주신 뒤 위쪽의 설정 탭 옆에 보시면 공유라는 탭이 보이실 겁니다. 거기로 들어가 주세요. 여기서 폴더를..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의 사용자 추가와 SSH에 이어서 드디어 OMV의 SMB기능을 활성화 해서 네트워크 다른 컴퓨터(같은 공유기에 접속된 컴퓨터들)에서 해당 디스크에 접속 가능하게 만들겁니다. 또 그냥 SMB를 활성화 한다고 해서 접속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계정에 디스크 사용권한을 추가하는 방법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FTP는 안타깝게도 한 포스팅 더 밀어질 것 같네요. 그럼 바로 시작하도록 할게요. 공유 폴더 생성 및 SMB삼바 설정 활성화하기 일단 공유폴더 설정을 먼저 하도록 하죠. 접근 권한 관리-> 공유폴더로 들어가시면 이전에 설정하지 않으셨다면 비어있을 겁니다. 여기서 추가 버튼을 누르시면 하드디스크 설정 창이 뜨죠. 그러면 이렇게 폴더 이름과 사용할 하드디스크 위치를 설정하..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말씀드린 대로 SSH 연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왔습니다. 또 OMV의 사용자를 새롭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해 드릴 예정입니다. 사용자를 새로 만들게 되면 해당 사용자로 OMV에 로그인할 수 있고 부여된 권한에 따라서 SSH로 접속했을 때 로그인할 수 있게 만들 수도 있죠. 그럼 먼저 사용자를 만드는 방법부터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새로운 사용자 생성하기 사용자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접근 권한 관리-> 사용자로 들어가야 합니다. 들어가면 아래 사진처럼 현재 생성된 사용자를 볼 수 있고 새로 추가할 수도 있죠. 위에 사진에 빨간 박스로 표시된 추가를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창이 뜨면 이름에 사용하실 아이디를 적어 넣고 비밀번호도 적어 넣어 줍니다. 그..
안녕하세요. 저번의 포트 포워딩 방법과 포트 변경 방법을 알려드린 것에 이어서 OMV를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하드디스크를 마운트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기 위해서 다시 왔습니다. 나스를 구성하기 위해서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하는 것은 굉장히 필수적이고 중요한 작업이죠. 또 나스 운영체제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것이라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도록 하죠. [1]OMV 업데이트하는 방법 OMV를 업데이트 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나스의 메인 화면에서 시스템-> 업데이트 관리로 이동해서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죠. 업데이트 관리로 들어가면 이렇게 가능한 업데이트 목록이 나옵니다. 만약 나오지 않는다면 검사를 눌러서 업데이트 ..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설치한 Open Media Vault의 포트를 변경하고 포트포워딩을 진행해서 외부에서 컨트롤 패널에 접속이 가능하게 만드려고 합니다. 아마 OMV를 철시하신 바로 직후에는 외부아이피에서의 접속도 안되실거고 포트도 80번 포트로 설정되어 있으실 겁니다. 저는 나중에 이 80번 포트를 다른곳에 사용할 것 같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이 외부에서 쉽게 접속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포트를 옮겨주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떤 방법으로 위에 제시한 문제들을 해결할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컨트롤 패널 접속 포트 변경 2. 외부 접속 포트 설정 순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컨트롤 패널 포트 변경하는 방법 가장 먼저 설명해 드릴 것은 컨트롤 패널의 접속 포트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일단..
최근 나스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파일의 용량은 점점 커져가고 이를 저장하기 위해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자니 부담스럽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저도 1여년전 OMV(수정 전) 강의를 작성하며 나스를 구성해본 적이 있었죠. 그때는 공유폴더를 설정하고 SMB, FTP를 활성화해 외부에서 저장소를 이용할 수 있는 부분까지만 진행했었습니다. 이후 여러가지 문제 때문에 OMV로 나스를 구성하는 것을 포기하고 부품을 그냥 창고에 넣어둔 것 같네요. 근데 최근에 다시 나스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껴 본격적으로 강의를 작성해볼까합니다. 그냥 공유폴더로 파일 공유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OMV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구동(ex]nextcloud, wordpress)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