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obs 관련 포스팅을 계속 작성했습니다. 녹화, 잡음제거, 캡쳐 보드 연결 방법 등을 알아보았고 이제 방송을 송신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요즘 집에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서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는 인구 또한 증가했습니다. 시청자가 증가하니 당연하게 방송을 해보고자 하는 사람들도 늘어났죠. 예전에는 obs로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복잡한 과정으로 설정을 만져줘야 했습니다. 그런데 업데이트를 점점 거듭하더니 빠르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게 변했습니다. 특히 지금은 트위치의 경우 로그인 한 번만 해주면 계정과 연결되죠? 오늘은 트위치를 기준으로 obs에서 방송 관련 설정을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그럼 바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OBS 트위..
목소리를 녹음할 때 마이크를 사용하죠? 그런데 마이크의 성능이 좋든 나쁘든 잡음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녹음된 목소리에 잡음이 섞이면 목소리에 집중하기 힘들고 알아듣기도 힘들죠. 몇몇 마이크들은 기본적으로 잡음 제거 기능을 탑제하고 있기도 합니다. 저는 현재 스탠드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마이크에는 잡음 제거 기능이 없어서 목소리를 깔끔하게 녹음하기 위해서는 따로 작업을 해 주어야 하죠. 영상을 녹화하거나 소리를 녹음할 때 미리 잡음 제거 처리를 해두면 나중에 따로 잡음제거를 해줄 필요도 없고 마이크 소리에만 잡음제거 효과가 들어가기 때문에 게임 소리라던가 데스크톱에서 녹음된 소리들에게 영향 없겠죠? 방송용 프로그램인 OBS에도 이런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소리 필터를 이용해서 해당..
OBS는 방송용 프로그램이긴 하지만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애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캡처 보드를 사용할 때나 과제용 영상을 녹화할 때 사용하기도 하죠. 다른 녹화 프로그램인 반디캠 등의 프로그램들은 영상에 워터마크가 들어가서 보기 싫은데 OBS는 그런 것 없이 깔끔하게 녹화되기에 편리합니다. 물론 윈도우의 녹화 기능을 이용하거나 그래픽카드 드라이버(AMD, NVIDIA)에서 제공하는 녹화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조금 더 세세한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녹화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녹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오늘은 OBS를 이용해서 화면을 녹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화질을 조정하고, 음질을 높이는 등 녹화 관련 설정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화면 녹..
스위치, 플레이 스테이션과 같은 콘솔 게임기는 모니터에 연결하거나 TV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저는 캡처보드를 사용해서 컴퓨터와 연결해 사용하고 있죠. 모니터의 HDMI케이블을 이미 다른 곳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고 캡처보드 하나 정도 마련해 두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구매했죠. 최근에는 집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인터넷 방송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났습니다. 콘솔 게임을 방송하거나 두개의 컴퓨터로 방송하기 위해 캡처보드를 구매하시는 분들도 많아졌죠. 그래서 오늘은 캡쳐 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포스팅은 제가 현재 가지고 있는 AVerMedia사의 LGX(GC550) 제품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그럼 바로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